반응형


라즈베리파이에 데비안 계열인 라즈비안(Raspbian)OS를 설치하고 외장하드를 연결하여 홈서버로 사용하고 있다.

NTFS 포맷으로 된 외장하드를 마운트 해 보자.


1. 외장하드를 라즈베리파이의 USB 단자에 꼽는다. 이 때 외장하드가 삑삑 거리면서 인식이 되지 않을 경우 

전원부족이다. Y케이블과 별도의 5V 어댑터를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을 공급해 주거나 

5V 2A 이상의 유전원 USB 허브를 사용하면 된다.


2. NTFS 파일 시스템을 제대로 읽고 쓰기 위하여 ntfs-3g 를 설치한다.

pi@raspberry ~ $ sudo apt-get install ntfs-3g


3. 파일 시스템을 체크하는 명령어인 blkid를 쳐서 연결된 외장하드의 정보를 얻어온다.

나의 경우엔 /dev/sdb1 이것이 외장하드 이다.

pi@raspberry ~ $ blkid

/dev/mmcblk0p1: SEC_TYPE="msdos" LABEL="boot" UUID="787C-2FD4" TYPE="vfat"

/dev/mmcblk0p2: UUID="3d81d9e2-7d1b-4015-8c2c-29ec0875f762" TYPE="ext4"

/dev/sda1: UUID="48CE6AC7CE6AAD3E" TYPE="ntfs"

/dev/sdb1: UUID="C02803F52803E96C" TYPE="ntfs"


4. 마운트 할 디렉토리를 만든다. 

나의 경우엔 홈디렉토리 하위에 exthdd 라는 폴더를 만들어서 마운트 하기로 함.

pi@raspberry ~ $ mkdir /home/pi/exthdd


5. 외장하드를 마운트 한다.

pi@raspberry ~ $ sudo mount /dev/sdb1 /home/pi/exthdd


6. 재부팅 후에도 계속 마운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리눅스의 마운트 설정파일인 /etc/fstab 파일에 설정정보를 적는다.

pi@raspberry ~ $ sudo nano /etc/fstab

위의 파일을 nano 등으로 열어 blkid 명령으로 알아낸 외장하드의 마운트 정보를 

맨 마지막 줄에 다음과 같이 추가해 준다. 

UUID=C02803F52803E96C  /home/pi/exthdd     ntfs    defaults          0       0


7. 시스템을 재부팅 해 준다.

pi@raspberry ~ $ sudo reboot


※추가사항(2016.03.15): /boot/config.txt 파일을 열어 맨 윗줄에 아래 사항을 추가해주면 더욱 안정적으로 외장하드가 동작 한다고 한다. 이는 라즈베리파이의 전력 제한을 2A까지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실제로 OSMC로 쓰고 있는 라즈베리파이1 B에 사용했더니 외장하드가 훨씬 안정적으로 동작한다. 물론 어댑터는 5V 2A 사용

max_usb_current=2

safe_mode_gpio=4


반응형

+ Recent posts